1. GROUP BY 절

집계 함수는 사원 전체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추출했는데 특정 그룹을 묶어서 데이터를 집계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되는 구문이 GROUP BY 절이다. 그룹으로 묶을 컬럼명이나 표현식을 GROUP BY 절에 명시해서 사용하며 GROUP BY 구문은 WHERE와 ORDER BY절 사이에 위치한다.

 

기본구문

 

◈ 예제

 

 

 

사원 테이블에서 각 부서별 급여의 총액을 구했다. 위 결과를 보면 30번 부서에 속한 사원들의 급여를 모두 합하면 24900 임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쿼리를 수행해 보자.

 

 

 

kor_loan_status 테이블에는 월별, 지역별 가계대출 잔액(단위는 십억)이 들어 있고, 대출유형(gubun)은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 두 종류만 존재한다. 그럼 2013년 지역별 가계대출 총 잔액을 구해 보자.

 

 

 

이번엔 2013년 11월 총 잔액만 구해 보자.

 

 

 

그룹 쿼리를 사용하면 SELECT 리스트에 있는 컬럼명이나 표현식 중 집계 함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GROUP BY절에 명시해야 하는데 앞의 쿼리는 period 컬럼을 명시하지 않아 오류가 난 것이다. 2013년 데이터는 2013년 10월과 11월만 존재하며 WHERE 절에서 기간을 201311로 주었으므로 굳이 period를 그룹에 포함시킬 필요는 없지만, 구문 문법상 GROUP BY 절에 포함시켜야 한다.

 

 

2. HAVING 절

HAVING 절은 GROUP BY절 다음에 위치해 GROUP BY한 결과를 대상으로 다시 필터를 거는 역할을 수행한다. HAVING 필터 조건 형태로 사용한다. 쿼리에서 대출잔액이 100조 이상인 건만 추출한다면 다음과 같이 쿼리를 작성하면 된다.

 

◈ 예제

 

 

 

WHERE 절은 쿼리 전체에 대한 필터 역할을 하고 HAVING 절은 WHERE 조건을 처리한 결과에 대해 GROUP BY를 수행 후 산출된 결과에 대해 다시 조건을 걸어 데이터를 걸러낸다.

+ Recent posts